-
반응형
본 포스팅은 CFD의 개념, 그리고 장점 단점에 대해서 소개한다. 요즘 기사를 보면 CFD 시장으로 진출한다는 기사가 정말 많이 보인다. 이는 그만큼 투자자들이 투자의 다각화를 고려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그에 발을 맞춰 고객들을 놓치지 않기 위한 방법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CFD가 뭔지, 어떤 이유로 증권사들이 CFD를 출시하고자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목차
1. 개요
2. CFD란
3. CFD 장점
4. CFD 단점
5. CFD 수수료
6. CFD 양도소득세
마치며개요
최근 뉴스를 살펴보면 CFD를 주력으로, 혹은 CFD 사업을 강화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CFD는 겉보기로는 일반 주식 거래와 크게 다를바가 없다. 원하는 가격에 주식과 매도, 매수에 대한 주문을 넣게 되면 체결이 되는 방식으로 일반 거래와 다르게 CFD거래에서 주식을 매수, 체결한다는 것은 그 주식을 소유하게 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CFD란? 개념의 정의
CFD는 차액 결제 거래의 앞글자를 따서 줄여 부르는 말이다. 영어로는 'Contrack For Difference'로써, 주식을 구입하지 않고도 진입가와 청산가의 차액을 현금으로 결제할 수 있는 "장외파생상품" 중 하나이다.
일종의 총수익스와프(TRS) 거래라고 볼 수 있다. TRS는, 증권사가 레버리지를 일으켜서 대출을 해주고, 매매에 따른 수익은 투자자가 가져가는 파생상품을 뜻한다.
CFD의 장점
어떤 금융상품이든 장점과 단점이 있다. 그래서 투자에 있어서 어느정도의 지식이 있다면 레버리지를 이용해 큰 수익을 만들 수 있다. 그렇기에 사전에 미리 장점과 단점을 꼼꼼히 파악한 이후에 고민을 하는 것이 좋다.
첫 번째, 장점이다.
종합소득과세 대상에서 제외가 될 수 있으며, 배당소득금액의 과세가 이연 될 수 있다.
또한 국내주식을 CFD 계좌를 이용해 매매를 하게 되면 대주주 양도소득세에서도 제외 대상이 된다.
해외주식을 CFD 계좌를 이용해 매매하게 되면 해외주식 양도소득세의 22% 대신, 파생상품양도소득세 11%가 적용 된다.
또한, 해외주식 현물 그리고 CFD를 함께 사용하게 되면 둘 다 양도소득세 기본공제금액 250만원을 적용 받을 수 있어 절세가 가능하다.
그리고 공매 역시 가능하다.
CFD의 단점
CFD 단점은 레버리지의 양면성에 있다. 잘 사용하면 높은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지만 잘못 사용하게 되면 돈을 순식간에 잃을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증거금이 부족한 경우 포지션을 반대로 잡아 청산시키는 반대매매가 이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자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 전문 투자자로 등록된 사람만이 가능하다는 점도 단점에 해당된다.
CFD 수수료
CFD의 수수료는 온라인이 오프라인에 비해 더 적은 편이다. 대신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으면 롤오버이자라던지 대차이자가 발생할 수 있으니 이 점은 참고해둬야 한다.
CFD 양도소득세
CFD 양도소득세는, 250만원을 기본 공제하고 난 뒤 그 이상 수익이 발생했을 때 11%의 세금을 내야한다. 과세대상기간은 결제일을 기준으로 매년 1월 1일부터 동년 말일 결제분까지이며, 그 안에 발생하는 수익은 기본공제를 제외하고 모두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
해당 양도소득세에 대한 납부는 종합소득세 신고랑 동일하게 그 다음년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홈텍스를 이용해 납부할 수 있다.
마치며
CFD의 거래는, 전문투자자에게만 허용 되어져 있어 시장이 그렇게 크지 않았었다. 하지만 점점 CFD 사업을 강화하고, 이를 주력으로 미는 만큼 거래량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라는 점을 인지해야한다. 특히 일부 증권사에서는 개인투자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상품이라던지 서비스를 계속 개발할 예정이라는 발표까지 마쳤기에, 전문투자자라면 CFD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아둘 필요가 있어 보인다. 꾸준히 살펴보면 좋을 CFD에 대한 정보는 앞으로도 꾸준히 탐독하길 바란다.
함께보면 좋을 글 ▼
2023.02.22 - [알아야하는 필수정보] - ETF란 : ETF 투자 하는 방법 & 초보투자자 정보 총정리
2023.02.23 - [알아야하는 필수정보] - etf 금융소득 종합과세 과세 대상 및 기준 확인하기 [총정리본]
2023.02.24 - [알아야하는 필수정보] - 국내 etf 세금 & 수수료 꼭 알아야 할 정리본
반응형'알아야하는 필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 신고 및 신고시 필요서류 확인방법 A to Z (0) 2023.04.10 주식 펀드 차이 : 투자 관련 정보 총정리본 (1) 2023.03.27 2023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 홈택스, 임대사업자, 개인사업자 ] 총정리 (0) 2023.03.20 2023 종합소득세 신고 : 신고기간 & 신고대상 정보 총정리 (0) 2023.03.17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 & 소득기준 : 무주택 기간 총정리 (0) 2023.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