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평상시 신용점수를 잘 관리하지 않으면, 은행에 돈을 빌려야하는 상황이 왔을 때, 빌리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럴 때면 정말 난감할 수 있어 평상시에 신용점수 등급표나 점수표를 잘 확인하고 관리해주셔야만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신용등급 등급표 점수표 알아 보는법과 점수를 올리는 데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목차
1. 신용점수의 정의
2. 신용점수 관리를 해야만 하는 이유
3. 신용점수 등급표 & 점수표
4. 신용등급 점수표 기준신용점수의 정의 은행이 개인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 신용점수가 있습니다. 그간 평가지표로 소득과 신용등급을 주로 평가하여 금리 그리고 한도를 결정을 했기에 이런 이유로 신용등급이 높은 분들은 큰 한도를 저금리로 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알아보면 이 신용등급은 1점과 2점 등 낮은 점수로 등급이 나뉘어, 안타깝게 불이익을 받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신용 등급 제도가 2021년에 폐지 되었습니다. 그 이후, 신용점수 제도로 개편이 되어왔습니다. 여기서 신용점수는, 신용등급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으며 점수마다 구간을 나눈 뒤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신용점수 관리를 해야만 하는 이유 최근, 은행에서 상담을 받아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신용점수가 너무 낮아 금리가 높아진다던지 한도가 작아진다던지 부결까지 받는 분들이 계십니다. 저도 한때 돈이 필요해 은행에서 상담을 받은 적이 있었지만, 신용점수가 기준에 맞지않아 부결을 받아본 경험이 있습니다. 만약 그 돈이 정말 급하게 필요했다면 큰 걱정을 했을 것 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평상시에 잘 확인을 하고 관리를 해야한다는 것 입니다.
신용점수 등급표 & 점수표 그 다음은, 신용점수 등급표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신용점수 등급표 & 점수표는 1구간부터 10구간까지 나뉘어져 있습니다. 사진을 통해 보다 더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드려보자면 신용점수가 700점인 분들은 5구간에 속합니다. 그리고신용점수가 300점인 분들은 10구간에 속하게 되는데요. 여기서, 신용점수 등급표, 그리고 점수표의 구간의 숫자가 올라갈수록 불이익이 많아질 수 있다는 점을 잘 알아두셔야만 합니다.
신용점수 점수표 기준 알아보기 은행이 개인의 신용을 판단할 때, 기준이 별도로 있습니다. 그 기준을 정리해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신용카드 발급 기준
신용카드 680점, 576점 이상
2. 서민금융상품 지원 대상
신용점수 744점, 700점 이하
3. 중금리 신용공여 한도 우대
신용점수 859점, 820점 이하
4. 구속성 영업행위 해당
신용점수 724점, 655점 이하이 처럼, 항목마다 신용점수의 기준이 있기 때문에 신용카드를 발급 받으신다던지 혹은 금리를 조금 더 낮게 하여 받고자 하신다면 신용점수 관리를 잘 해주셔야 합니다. 은행을 가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최근 금리가 너무 높고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신용점수를 잘 올려두시는 것을 목표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알아야하는 필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a 통장이란 & 계좌란 ? 총정리 [ 사이트 별 금리비교 ] (0) 2023.02.07 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 2월 최신 [ 1금융권, 저축은행 外 ] (0) 2023.02.06 연말정산 의료비공제 [ 계산법 / 한도 / 증빙서류 ] 총정리 (0) 2023.01.26 연말정산 카드공제 한도 : 신용 / 체크 / 직불 총정리 (0) 2023.01.25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준 등록 & 인적공제 총정리 (0) 2023.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