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청년월세지원 사업은, 저소득 독립 청년에게 최대 20만원씩 12개월동안 지원을 하는 정부사업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많은 저소득 독립 청년분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데, 모든 청년들이 해당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오늘 글을 통해 지원사업 받는 방법과 신청, 결과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2023 청년월세지원
✔ 청년월세지원 조건
✔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 [ 지원사업 받는 방법 ]
✔ 청년월세지원 결과
✔ 마무리2023 청년월세지원
2022년 8월 22일, 정부에서는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큰 관계없이 월 최대 20만원씩 12개월분의 월세를 지원하는 청년월세지원 사업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현재, 2023년 역시 8월 21일 (월) 까지 작년에 이어 1년동안 계속해서 한시적 신청을 받고 있어 지원사업 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그럼 신청하기 앞서, 어떤 조건에 만족을 해야만 하고,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월세지원 조건
청년월세조건의 조건을 정리해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나이 : 만 19세~34세 저소득 독립 청년
2. 지원 금액 : 월 최대 20만원까지 12개월분의 월세를 지원
2-1 소득과 재산 :
소득 -> 청년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원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재산 -> 청년가구 (1억 7백만원 이하), 원가구 (3억 8천만원 이하)
3. 신청기간 : 22년 8월 22일부터 23년 8월 21일까지
4. 지급하는 기간 : 22년 11월부터 24년 12월까지.
조건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았는데, 추가적으로 알아두셔야 할 사항이 하나 있다면
현재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주택소유자, 그리고 청년월세지원 수혜자, 행복주택 입주자와 같이 정부에서 이미 진행하고 있는 주거비 지원을 받고있는 청년들은 청년월세지원을 받을 수 없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 [ 지원사업 받는 방법 ]
청년월세지원을 신청하기 위해선 온라인과 오프라인 중 선택을 하면 됩니다.
1.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 / 복지로 App을 이용해서 신청 가능
(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모의계산이 가능해, 신청 대상인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
2. 오프라인 신청 : 주소지 소재 시,군,구청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을 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제출서류 : 제출서류는 월세지원 신청서, 소득 및 재산 신고서, 임대차 계약서, 최근 3개월 내에 이체한 월세 증빙서류, 통장사본, 가족관계증명서가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하숙집에 거주하시거나 회사, 대학교 기숙사, 사택 등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임대차 계약서, 입실 확인서와 같은 추가서류가 필요하오니 자세히 살펴보신 뒤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청년월세지원 결과
청년월세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은, 2개월 내로 소득과 재산요건 중 검증을 모두 거쳐 대상여부를 통보하는 방식입니다. 신청 사이트를 통해 확인도 가능하지만, 통보 문자가 별도로 가오니 문자를 기다리는 방법으로 결과를 쉽게 확인해보실 수도 있습니다.
마무리
이렇게 오늘은 2023 청년월세지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저 역시 청년월세지원을 받고자 한동안 많이 알아본 경험이 있습니다. 알아보니, 실제로 받기 위해서는 상당수 까다로운 절차를 밟아야 해서 중간에 포기하시는 청년들도 많은 것 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12개월동안 20만원의 월세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에만 해당된다면 요즘과 같은 저금리 시대에는 금전적 생활의 부담을 덜 수 있으니, 조건을 잘 확인하시고 청년월세지원을 받으실 수 있다면 필히 받아보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함께보면 좋을 글 ▼
2023.03.13 - [정부정책] - 청년 알뜰 교통카드 신청 & 사용법 : 마일리지 간단 정리
2023.03.10 - [정부정책] - 청년 지원정책 모음 : 지원사업 & 지원금 [총정리]
2023.03.03 - [정부정책] -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 2023 신청방법 및 사업 지원대상 총정리
2023.02.15 - [알아야하는 필수정보] - 2023년 청년희망적금 : 신청기간 및 이자 & 이율 가입조건 총정리
반응형'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내일채움공제 : 자격 및 신청방법 지원금 2023 총정리본 (0) 2023.04.06 셋째자녀 대학등록금 지원 : 소득분위 및 혜택 2023 총정리 (0) 2023.04.05 실업자 국비지원 무료교육 자격 & 교육과정종류 2023년 총정리 (0) 2023.03.23 국비지원 자격증 종류 & 교육과정종류 : 자격조건 알아보기 [총정리ver.] (0) 2023.03.22 내일배움카드로 배울수 있는것 : 2023 최신버전 총정리본 (0) 2023.03.16